갑자기 세무서에서 서류 달라고 할 때 생기는 멘붕
이런 경험 있으세요? 그냥 조용히 살고 있었는데 갑자기 세무서에서 전화 와서 “연금계좌납입확인서 필요하니 팩스로 보내주세요” 하던 날. 그게 저였어요. 처음엔 진짜 당황했어요. 뭐? 연금계좌? 그게 뭐였지? 언젠가 삼성증권에서 연금저축펀드 가입했던 건 기억나는데, 그 후론 손도 안 댔거든요.
그날이 1월 말쯤이었는데, 연말정산 시즌이라 그런지 이런 요청이 종종 들어오더라고요. 공인중개사 일 하다 보니까 고객들 연말정산 자료도 자주 건드리는데, 막상 제 서류 하나 챙기려니 괜히 손이 느려지고, 헷갈리고. 그래서 블로그에도 이걸 한 번 정리해두면 나중에 또 필요할 때 좋겠다 싶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직접 해본 삼성증권 계좌확인서 발급이랑 연금계좌납입확인서 출력 과정을 있는 그대로, 실수한 부분까지 다 포함해서 공유해볼게요.
삼성증권 앱? 홈페이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처음엔 무작정 삼성증권 MTS(영웅문S) 켰어요. 평소에 주식 거래는 거의 키움으로 하고, 삼성은 연금 때문에만 썼다 보니까 익숙하지도 않았고요. 앱 안에 메뉴가 엄청 많잖아요. 계좌도 여러 개 떠 있고, 뭐가 뭔지 정말 헷갈렸어요.
그래서 일단 ‘검색’에 ‘계좌확인서’라고 쳤더니 아무 것도 안 나오더라고요. 괜히 키보드만 두드리다 시간 낭비. 다시 메인으로 돌아와서 ‘고객센터’ → ‘증명서 발급/신청’ 쪽으로 들어가니까 드디어 찾았어요.
여기서부터 말씀드릴게요.
삼성증권 계좌확인서 발급 이렇게 했어요
1단계 메뉴 위치 찾기
삼성증권 MTS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
영웅문S 앱 실행
-
오른쪽 하단 ‘전체메뉴’ 클릭
-
‘고객센터’ 들어가기
-
스크롤 내리다 보면 ‘증명서 발급/신청’ 항목이 보여요
-
거기서 ‘계좌확인서’ 클릭하면 됩니다
처음엔 이 메뉴가 왜 이렇게 깊이 숨어있는지… 그냥 검색창에서 바로 접근 가능하면 좋겠더라고요. 아무튼 찾으면 이렇게 뜹니다.
2단계 필요한 계좌 선택하기
제가 연금저축계좌 하나랑 일반 CMA 계좌 하나가 있었는데, 어떤 걸 선택해야 하나 고민했죠.
‘계좌확인서’는 말 그대로 해당 계좌에 대한 소유 확인서니까, 원하는 계좌만 고르면 돼요. 필요하면 여러 개 동시에 선택도 가능하더라고요. 전 연금저축만 선택했어요.
3단계 출력 방법 고르기
여기서 선택지가 나와요.
-
PDF 저장
-
팩스 전송
-
이메일 발송
저는 PDF로 저장해서 프린트했는데, 급한 분들은 팩스로 바로 보낼 수도 있어요. 팩스번호만 있으면 자동으로 전송되고 수신 확인도 가능하니까 꽤 편하더라고요.
연금계좌납입확인서 출력은 약간 달라요
국세청 홈택스와 연동되어 있는 시스템
처음에는 삼성증권에서 ‘연금계좌납입확인서’도 계좌확인서랑 같이 뽑는 줄 알았어요. 근데 이건 조금 다르더라고요.
연금계좌 납입내역은 ‘연말정산용’이기 때문에, 국세청 홈택스랑 연동되어야 제대로 나와요. 그래서 앱에서는 PDF나 팩스용보다는 홈택스 제출용으로 직접 발급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발급 절차 정리
-
MTS 실행
-
전체메뉴 → 고객센터 → ‘증명서 발급/신청’
-
이번엔 ‘연금저축 납입내역서’ 선택
-
연도 선택 (2024년 연말정산이면 2024년 선택)
-
발급 방법은 PDF, 팩스 둘 다 가능
여기서 중요한 건 국세청 제출용이라고 표시된 양식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에요. 일반 출력용으로 받으면 연말정산용으로 제출 시 누락될 수 있어요.
출력 후 사무실 팩스로 보내봤어요
저는 세무서에 보내야 했으니까 팩스 발송으로 진행했어요. 팩스번호 입력하고 ‘발송하기’ 누르니까 3분도 안 돼서 전송 완료. 수신 확인도 앱 안에서 가능하더라고요.
예전엔 증권사에 전화해서 팩스 보내달라고 해야 했던 거 생각하면, 요즘 진짜 좋아졌어요.
막히기 쉬운 포인트들, 정리해볼게요
인증서 없으면 발급이 안 돼요
처음에 앱 실행만 하면 다 되는 줄 알았는데, 보안카드나 공동인증서 없으면 증명서 발급 자체가 안 되더라고요. 미리 등록해둬야 중간에 안 막혀요. 저는 공인인증서 폐지되고 나서 새로 등록 안 했더니 인증 단계에서 막혀서 다시 돌아가야 했어요.
PC에서 하면 더 쉬울 수도 있어요
스마트폰이 익숙치 않으신 분들은 삼성증권 홈페이지에서 PC로 하는 게 편할 수 있어요. 메뉴 구성이 더 직관적이고 마우스로 클릭하면 되니까요. 저도 결국은 프린트는 PC로 했어요.
발급은 되도록 업무시간 내에
심지어 발급 요청했는데 “처리 지연” 메시지가 떠서 한참 기다린 적도 있어요. 팩스 발송은 업무시간 외에는 늦어질 수도 있으니까 웬만하면 평일 오전에 처리하는 게 좋아요.
실제 발급 후, 마음이 훨씬 편해지더라
서류 하나 없다고 여기저기 전화 돌리고, 시간 낭비하는 경우 많잖아요. 이번에 미리 챙겨서 제출하고 나니까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어요.
특히 연금계좌는 내가 매달 불입해놓고도 잘 까먹는데, 이렇게 연말마다 체크해보면 “아 그래도 내가 한 달에 30만원씩 잘 불입했구나” 이런 확인도 되고요.
계좌확인서도 필요할 때 없으면 진짜 답답하니까, 지금 여유 있을 때 한 번쯤 출력해놓는 것도 추천드려요.
마무리하며 드리는 팁과 한 줄 요약
-
삼성증권 MTS에서는 ‘고객센터 > 증명서 발급/신청’ 안에서 계좌확인서와 연금저축 납입내역서 모두 발급 가능해요.
-
공동인증서 미리 등록 필수! 없으면 발급 막혀요.
-
팩스 발송 기능 활용하면 세무서나 회사 제출할 때 진짜 편해요.
-
국세청 제출용 양식인지 꼭 확인하세요.
한 줄 요약
삼성증권 계좌확인서와 연금계좌납입확인서, 앱 안에서 발급부터 팩스 전송까지 한 번에 되니까 미리 챙겨두면 진짜 편합니다.
필요할 때 허둥대지 말고, 여유 있을 때 한 번 출력해두는 거, 진짜 강추예요!